소상공인을 위한 정부 정책과 지원금

2025 주요 은행 소상공인 금융지원 비교총정리

2025년 소상공인 정부 지원 예산은 약 5.4조 원

대표님들~~ 받을 수 있는 혜택 꼼꼼히 챙겨가세요!

은행 및 통신사 지원사업-1

은행권의 소상공인 금융지원!

KB국민은행, IBK기업은행, 신한은행, 하나은행, NH농협은행
특화된 금융상품, 저금리 대출, 보증지원, 창업 컨설팅 지원

💵

🌏 소상공인의 자금난 해소와 사업 안정화를 위한 주요 은행별 소상공인 지원사업!

신속한 회복과 지속 가능한 경영 기반을 마련

1. IBK기업은행 –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 플랫폼/p>

• 지원내용:
    • ‘IBK희망대출’ 최대 1억원, 연 2~3% 저금리
    • ‘IBK창공’ 프로그램을 통한 재기 창업 컨설팅
    • 기술력 보유 기업 대상 ‘기술금융보증부 대출’
• 신청대상:
    • 창업 7년 이하 또는 경영 애로 소상공인
    • NICE/CB 등급 6등급 이내 또는 재창업 준비 중인 자
• 특징:
    • AI 기반 신용평가 시스템 도입
    • 소진공·신보와 연계한 정책자금 우선 배정

2. KB국민은행 – KB 소호(SOHO) 금융센터

• 지원내용:
    • ‘KB소호신속대출’: 무보증 최대 3천만 원
    • ‘SOHO컨설팅서비스’: 세무, 노무, 경영 진단 무료 제공
    • 온라인 매출 플랫폼 연계 운영자금 대출
• 신청대상:
    • 자영업자, 프랜차이즈 점주, 온라인 셀러 등
    • 매출 30% 이상 감소 기업 우대
• 특징:
    • 전국 130개 SOHO금융센터에서 전담 상담 가능
    • 신용보증재단 연계 자동 보증서 발급 시스템

3. 신한은행 – 소상공인 성공지원 프로그램

• 지원내용:
    • ‘신한소호성공대출’ 최대 5천만 원
    • ‘마이카운셀러’ 프로그램으로 상권분석 및 재무 진단
    • 신한두드림스페이스 창업 교육
• 신청대상:
    • 신용등급 7등급 이상 개인사업자
    • 사업자등록 6개월 이상 유지 시 우대
• 특징:
    • 데이터 기반 매출예측 서비스 제공
    • 창업보육센터 입주 기회 제공

4. 하나은행 – 비대면 경영지원 특화

• 지원내용:
    • ‘하나소호스피드론’: 모바일 전용, 최대 3천만원
    • ‘1:1 경영멘토링’ 3개월 무상 컨설팅
    • 외화 결제 기업 대상 환율 우대 및 보증지원
• 신청대상:
    • 전자상거래, 무점포 창업자, 배달앱 운영 자영업자
    • 최근 6개월 매출이 있는 사업체
• 특징:
    • 비대면 전용 상품 중심
    • ESG·친환경 업종 우대 심사 기준 운영

5. NH농협은행 – 지역 밀착형 금융지원

• 지원내용:
    • ‘NH소상공인지원자금’: 최대 5천만 원, 금리 2.5% 내외
    • 지역신협·신보 연계한 보증부 대출
    • 농촌 소상공인 대상 창업 멘토링
• 신청대상:
    • 읍·면·동 사업자등록 기준 소상공인
    • 창업 1년 미만 또는 코로나19 피해 사업체
• 특징:
    • 지자체 협약 특례보증 프로그램 운영
    • 전통시장 전용 상권 분석 서비스

✅ 신청방법 및 절차 (공통 기준)

1. 대상 확인: 각 은행 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 통해 대상 조건 확인
2. 서류 준비: 사업자등록증, 부가세신고서, 재무제표 등
3. 온라인 또는 창구 신청
    •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뱅킹 접속
    • 또는 인근 영업점 방문
4. 신용평가 및 심사
    • 은행 자체 신용평가 또는 보증기관 연계 평가
5. 대출 실행 및 사후 관리
    • 계좌 입금 후 1~2년 거치, 총 5년 상환 조건

👉 IBK기업은행 바로가기

👉 KB국민은행 바로가기

👉 신한은행 바로가기

👉 하나은행 바로가기

👉 NH농협은행 바로가기

📋 정책 의의 및 기대 효과

• 민간 금융기관의 적극적 참여 유도
    → 정부정책과 연계된 대출 프로그램 확대
• 상시 금융 인프라 제공
    → 소상공인의 유동성 위기를 안정적으로 대응
• 맞춤형 컨설팅과 복합지원
    → 단순 대출을 넘어, 재기·창업·경영 정상화 지원까지 포함
• 지역 경제 활성화와 고용 유지 기여